1. 문자와 문자열
2. 자동 형변환(Implict Conversion)
- char는 byte와 short보다 같거나 크지만 표현범위가 달라서 자동 형변환 되지 않는다.
예제)
System.out.println(3/2);
System.out.println(3.0/2.0);
System.out.println(3/2.0);
결과)
1
1.5
1.5
ㄴ 정수/정수는 정수로 출력되지만 정수/실수, 실수/정수는 실수로 자동 형변환되어서 이런 결과를 가진다.
3. 명시적 형변환
- cast 연산자를 이용해서 강제 형변환 한다.
- boolean을 제외한 7개의 기본형은 서로 형변환이 가능하다.
4. 이항연산자의 형변환
- 이항연산자는 연산을 수행하기 전에 피연산자의 타입을 일치시킨다.
- byte, short, char 형 데이터는 이항연산시 int로 변환된다.
- 피연산자 중 표현범위가 큰 타입으로 형변환 한다.
예제)
// byte a = 10;
// short a = 10;
char a = 'A';
// byte b = 20;
// short b = 20;
int c = a + 1;
// int c = a + b;
// int c = a + b;
System.out.println(c);
ㄴ 이와 같이 int로 변환해야 출력이 가능하다.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4. 연산자(Operator) (0) | 2021.06.28 |
---|---|
2. 변수와 자료형 (0) | 2021.06.24 |
1. Java의 이해 (0) | 2021.06.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