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웹사이트 구축과정의 이해 (Website Process)

by 주성씨 2021. 9. 17.

웹사이트 구축과정의 이해 (Website Process)

웹사이트를 구축은 크게 기획, 디자인, 퍼블리싱, 개발이라는 4단계를 거쳐서 진행되고 있으며 전체 프로젝트를 총괄하는 PM(Project Manager)와 각 단계의 PL(Project Leader)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성공적인 프로젝트를 완료하는데 목적을 둔다. 여기서 웹디자인 과정은 웹사이트의 컨셉(Concept)에 맞게 구체적인 시각화와 사용성을 높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보다 전문적인 아트디렉터가 투입되기도 한다.

웹사이트 구축 과정

웹사이트 구축은 제안과정과 실제 구축과정으로 나눌 수 있으며 제안을 위해 클라이언트의 요구사항이 정리된 문서 RFP(Request For Proposal)인 제안요청서를 통해 프로젝트의 목적과 현황을 파악하고 프로젝트의 올바른 방향성과 디자인 시안을 제안한다. 제안 요청에 따른 기능, 보안, 품질, 시스템, 프로젝트 관리, 일정, 프로젝트 진행 인력 등 다양한 내용이 구체적으로 제안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제안을 통해 클라이언트는 프로젝트의 전략, 기술, 관리 및 지원 등 다양한 부분에 대한 평가를 통해 가장 우수한 업체를 선정하고 실제 구축 과정을 거치게 된다. 웹사이트 구축 프로젝트의 순서는 크게 나누어 보면 다음과 같다.

요구분석 > 기획 > 디자인 > 퍼블리싱 > 개발 > 테스트 > 디버깅 > 오픈

이러한 단계를 기준으로 클라이언트와 프로젝트 진행자와 Kick off Meeting(프로젝트 구축 시작 미팅)을 시작으로 기획자, 디자이너, 퍼블리셔, 개발자의 협업을 통해 프로젝트가 진행된다. 일반적으로 일정에 따라 각 분야별로 겹쳐지면서 병행하여 진행되며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의해 다양한 변수를 가져올 수 있다.

요구 분석

구축하고자 하는 웹사이트의 목적과 방향성을 설정하기 위해 클라이언트의 요구사항을 분석하는 단계이며 기본적인 ‘요구 분석서’를 통해 클라이언트의 의도를 파악하고 추가적으로 각 담당자의 인터뷰를 진행하여 현행 서비스의 문제점과 개선사항을 검토하기도 한다.

기획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웹사이트 전략을 세우는 중요한 단계이다. 이때 디자이너, 퍼블리셔, 개발자와의 협업을 통해 의견을 조율하고 진행에 발생되는 문제점과 웹사이트의 전체적인 컨셉에 대한 아이디어를 공유한다. 이러한 과정은 전체 웹사이트 구축의 책임자인 총괄 PM이 전체 일정을 기준으로 지휘하고 담당 기획자가 필요한 스토리보드(Story Board)를 설계하고 각 해당 담당자들과 공유한다.

디자인

웹사이트 전략에 따른 디자인 컨셉을 수립하고 다양한 미디어와 시각적 요소를 활용하여 디자인 시안을 제작하고 클라이언트의 컨펌(Confirm) 과정을 통해 완성해가는 과정이다. 기획자와 원활한 소통을 통해 클라이언트와 사용자 입장을 고려하여 UX/UI 전략을 수립하고 컨셉을 설정한다. 이를 통해 시안을 제작하고 확정이 되면 실제 디자인을 진행한다. PC웹, Mobile웹 등의 범위에서 적응형, 반응형, 하이브리드 형으로 사용성을 고려하여 제작한다.

퍼블리싱

완료된 UX/UI 디자인을 HTML 문서로 만드는 과정이다. 개발 직전 단계이며 만들어진 HTML 문서에 개발자가 개발 소스를 넣어 개발 된다.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이란 인터넷 상에서 브라우저를 통해 사용되기 위해 컴퓨터와 소통할 수 있는 언어이다. 글자크기, 글자모양, 문서링크 등을 수행할 수 있으며 HTML5와 CSS3를 통해 인터랙션 기능과 움직임 등을 구현할 수 있다. 최근에는 접근성과 표준화에 따른 보다 전문적인 퍼블리싱이 요구되며 Front end 개발로 발전하고 있다.

개발

개발단계는 웹을 구현하는 전문적인 프로그램 개발자가 진행하며 PHP, ASP, JSP, JQuery, Javascript 등 다양한 언어로 제작되어 진다. 이러한 언어는 클라이언트의 요구사항과 현재 서버환경을 고려하여 결정 되며 이에 따른 프로그램 개발자도 전문성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다.

웹사이트 기획 전 단계

1. 웹사이트 목표 설정 및 기획

2. 시장조사, 벤치마킹, 통계조사, 컨셉설정

3. 콘텐츠 기획

4. 웹사이트 기능 설계

5. 전체 IA(Information Architecture) 구성

6. 웹사이트 기술 환경 설정

7. 예산 및 인원 구성

8. 제안 화면 스토리 보드 작성

9. 웹사이트 제안 시안 제작

10. 제안

웹사이트 제작 단계

1. 웹사이트 제작 일정 WBS(Work Breakdown Structure) 관리

2. 프로젝트 정기/비정기 회의

3. 웹사이트 기획 및 스토리보드

4. 웹사이트 디자인 및 개발

5. 웹사이트 최종 검수 및 테스트

6. 웹사이트 매뉴얼 및 완료보고서 작성

7. 웹사이트 운영 및 유지보수

Epilogue

웹사이트를 만드는 과정은 다양한 프로젝트에 따라 다양한 변수를 가지고 진행되기에 무엇보다 기획, 디자인, 퍼블리셔, 개발자의 협업을 통한 커뮤니케이션이 중요합니다. 웹사이트의 전략은 이러한 각 분야의 담당자들의 아이디어를 통해 새롭고 혁신적인 결과물을 만들 수 있으며, 총괄 PM은 각 분야에 대한 깊은 이해와 지식이 필요하고 원활한 협업을 이루기 위한 관리가 중요한 역할입니다. 전체 일정관리를 통해 해당 분야 별로 우선순위를 정해서 진행하고 프로젝트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요소에 대한 관리하여야만 합니다. 무엇보다 정해진 일정에 따라 진행되는 결과물을 확인하고 오픈 일정에 차질이 없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는 클라이언트와 개발업체에게 정신적, 경제적으로 크게 손해를 입힐 수 있은 중요한 부분입니다.

 

http://plandas.kr/ui-ux-design/uxui-5/

 

웹사이트 구축과정의 이해

Epilogue 웹사이트를 만드는 과정은 다양한 프로젝트에 따라 다양한 변수를 가지고 진행되기에 무엇보다 기획, 디자인, 퍼블리셔, 개발자의 협업을 통한 커뮤니케이션이 중요합니다. 웹사이트의

plandas.kr